아기의 발달은 매달 빠르게 이루어지며, 부모가 이를 어떻게 관찰하고 지원하느냐에 따라 아기의 건강과 성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생후 24개월까지는 뇌와 신체 발달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로, 언어, 운동, 사회성 발달의 주요 이정표를 이해하고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발달표는 이러한 과정을 수치와 행동 지표로 정리해 놓은 것이지만, 모든 아기가 같은 속도로 성장하는 것은 아니므로 지나친 비교는 불필요합니다. 그러나 발달 지연이 반복적으로 관찰되거나 또래 아기와 큰 차이가 나타날 경우에는 조기 개입이 필요하므로 부모의 세심한 관찰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생후 24개월까지 아기의 발달표를 언어, 운동, 사회성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부모가 참고해야 할 기준과 대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언어 발달 단계별 특징
언어 발달은 아기의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발달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생후 3개월 전후에는 옹알이를 시작하며, 6개월 무렵에는 “아-우” 같은 단순 모음을 반복합니다. 9개월이 되면 특정 소리를 의도적으로 반복하고, “엄마, 아빠”와 같은 단어와 유사한 발음을 내기도 합니다. 생후 12개월 전후에는 첫 단어가 나오며, 이 시기부터 단어와 대상의 연결을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18개월이 되면 약 10~20개 정도의 단어를 말할 수 있고, “가자, 먹자” 같은 간단한 지시를 이해합니다. 24개월 무렵에는 두 단어를 연결해 “엄마 줘”, “아빠 가”와 같은 문장을 만들고, 어휘 수도 50~100개 이상으로 늘어납니다. 그러나 언어 발달은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특정 시기에 단어가 늦게 나오더라도 다른 발달 지표가 정상적이라면 큰 문제는 아닙니다. 하지만 18개월 이후에도 의미 있는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24개월에 두 단어 연결이 어렵다면 언어 발달 지연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며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운동 발달 단계별 특징
운동 발달은 아기의 근육과 신체 기능의 성숙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생후 3개월 무렵에는 목 가누기가 가능해지고, 6개월 전후에는 혼자 앉을 수 있으며, 8~9개월에는 기어 다니기 시작합니다. 생후 12개월에는 대부분의 아기가 붙잡고 일어서거나 짧은 거리의 보행이 가능하며, 생후 15개월 무렵에는 독립적으로 걷는 아기가 많습니다. 18개월이 되면 걷는 동작이 안정적이며, 계단을 기어오르거나 공을 차는 행동도 가능해집니다. 24개월에는 뛰기, 낮은 곳에서 점프하기, 계단 오르내리기 같은 복잡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운동 발달은 언어 발달보다 비교적 일정한 순서를 따르지만, 아기가 첫걸음을 떼는 시기는 개별차가 큽니다. 예를 들어 어떤 아기는 11개월에 걷기도 하고, 또 다른 아기는 15개월이 지나서야 걷기 시작합니다. 중요한 것은 아기가 단계별로 새로운 동작을 시도하고 점차 움직임의 다양성을 보이는지 여부입니다. 만약 18개월이 지나도 혼자 서지 못하거나 걷지 못한다면 발달 지연 가능성을 고려해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사회성 발달 단계별 특징
사회성 발달은 아기가 주변 환경과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반응하고 교류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생후 2개월부터 아기는 미소로 반응하기 시작하며, 이를 사회적 미소라고 부릅니다. 6개월 무렵에는 부모와 타인의 얼굴을 구분하고, 낯선 사람에게 경계심을 보이는 낯가림이 시작됩니다. 9개월에는 손 흔들기, 박수치기 등 기본적인 사회적 제스처를 배우며, 12개월이 되면 부모가 말하는 간단한 요청에 반응하고 눈 맞춤을 잘 유지합니다. 18개월 아기는 또래에 관심을 보이고, 단순한 상호작용을 시도합니다. 예를 들어 장난감을 건네거나 따라하기 놀이를 즐기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24개월에는 자기 의사를 표현하기 위해 울거나 떼쓰는 대신 단어와 행동을 활용하며, 또래와 병렬 놀이를 하면서 사회적 관계의 기초를 다집니다. 이러한 사회성 발달은 언어와 운동 발달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종합적으로 관찰해야 하며, 아기가 눈을 잘 마주치지 않거나 이름을 불러도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달장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생후 24개월까지의 발달표는 아기의 언어, 운동, 사회성 발달을 점검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그러나 발달표는 평균적인 수치를 정리한 참고용 자료일 뿐, 모든 아기가 동일한 속도로 성장하지는 않습니다. 부모는 발달표를 절대적인 잣대로 삼기보다는 아기의 변화를 세심히 관찰하는 데 활용해야 합니다. 특히 언어 발달 지연, 걷기 지연, 사회적 반응 부족과 같은 신호가 반복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조기 개입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발달표는 아기의 건강을 점검하는 나침반과 같으며, 부모가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아기의 성장 과정을 더 안전하고 건강하게 이끌 수 있습니다.